본문 바로가기

Finance

[경제/금융] 석유 생산량 감소로 인해 일어날 유가 상승, 이 여파로 유류세 인하?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운전하시는 분들이 모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현재 국제유가가 상승 추세를 띠고 있음에 따라 국내 휘발유 가격도 오르고 있습니다. 유가 상승에 따라 금리 역시 인상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많은데요, 이와 같이 유가 상승과 관련된 일들에 대해 서술해보려고 합니다.


포털 사이트에 검색해보니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중동 산유국들이 석유 생산을 줄이기로 하였다는 기사가 많습니다.

1. 석유를 생산하는 나라들이 왜 갑자기 석유 생산량을 줄인 것일까요?

[답변]
유가가 많이 내려간 상태였는데, 중국이 공장을 다시 가동하게 된다면 유가가 다시 올라갈 것이라고 중동 국가들은 예측했습니다.
하지만 중국 공장들이 기대치보다 덜 가동시켜 유가가 기대치만큼 오르지 않았습니다.
경기 침체가 계속 되면서 국제 유가를 올려야 한다고 판단하여 석유 생산량을 줄였다고 하네요!

2. 유가가 올라가면 실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답변]
우선, 휘발유 값이 올라갑니다. 사실 이미 많이 올라간 것을 다들 체감하고 계시고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석유를 사용하는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어, 무역수지 적자폭이 커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편 유가가 오르면서 물가가 또 올라갈 것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올라간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금리가 인상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3. 유가 상승으로 인해 유류세를 깎아준다는 이야기가 있던데, 사실인가요?

[답변]
네, 맞습니다.
8월말까지 깎아준다고 하며, 정부는 휘발유와 경유 모두 리터당 약 200원씩 덜 걷고 있다고 밝히긴 하였습니다.
요즘 걷어진 세금이 적다는 기사가 많은데, 유가 상승으로 인한 재정적 부담이 커서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정부가 세금을 조금 덜 걷기는 하지만 주유소에서 마진을 그만큼 가져가면 소비자는 유류세 인하를 체감하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도 체감하는 소비자는 많지 않아보이는 것이 함정이네요.



지금까지 유가 상승, 그리고 유가 상승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