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은행이 2023년 3월 10일 파산하였으며, 이 사태는 전세계에 충격을 가져다주었습니다.
실리콘밸리은행은 미국 내 자산 기준 16위였으며, 총자산이 약 2090달러에 이르는 대규모 은행입니다.
SVB은행의 파산 규모는 한화로 환산하면 약 280조 규모로 미국 역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의 파산이라고 합니다.
SVB은행의 파산원인은 뱅크런 때문이었는데, 뱅크런이 일어난 원인과 SVB은행 파산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서술해보겠습니다.
1. SVB은행 파산 원인
SVB은행의 파산 원인은 크게 두 가지인데, 앞에서 언급했듯이 '뱅크런' 때문이었습니다.
따라서 '뱅크런'이 일어나게 된 배경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SVB은행의 주 고객은 스타트업이었던 관계로, 실리콘밸리의 신생 스타트업의 자금원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급속한 금리인상으로 인해 스타트업들은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스타트업들은 SVB은행에 예치해두었던 자금을 인출하였습니다.
여기에서 금리인상이랑 투자금 조달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간단히 설명해보겠습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돈이 마르게 되므로(=돈이 시중에 풀리지 않으므로), 투자사들은 함부로 투자를 진행하지 않게 되어 투자금으로 사업의 외형을 확장시키는 스타트업들에게는 금리 인상이 독이 된 것입니다.
이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스타트업들이 SVB은행에 예치해두었던 예금을 인출하면서 SVB은행은 현금 보유량이 급격히 줄어들게 되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던 국채, 채권 등을 매각하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보유한 자산을 매각하여 18억 달러(한화 약 2.4조) 규모의 손실을 보았으며, 이 손실을 메꾸기 위해 22억 5000만 달러(한화 약 3조) 규모의 증자 계획을 2023년 3월 8일에 발표하게 됩니다. 손실과 유증 발표 직후 주가가 폭락하여 대규모 인출 사태, 즉 '뱅크런' 현상이 일게 된 것입니다.
여기에서 채권 매각이 SVB은행 이용 고객에게 왜 불안 요소가 되었는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채권의 가격은 하락합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채권의 가격은 왜 하락할까요?
금리가 인상되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채권의 금리가 더이상 매력적이지 않습니다. 가령 시중금리는 6%를 상회하는데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채권 금리가 3%대라면, 채권은 경쟁력을 잃게 되어 가격이 낮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리와 채권은 보통 반대로 흘러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얘기가 자꾸 새네요.
다시 돌아와서 말씀드리겠습니다. SVB은행의 계속되는 채권 매각 소식에 주가는 폭락하고, 뱅크런 사태까지 일어나면서 사태를 수습할 수 없는 상황에 몰려 결국 파산 결정이 나게 되었습니다. 단 하루만에 420억 달러(한화 약 54조 9000억원)의 예금 인출이 이루어져 붕괴하게 된 것입니다. 그렇게 2023년 3월 10일, SVB은행은 불충분한 유동성과 지급 불능을 이유로 폐쇄되었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2.4조원의 손해로 인해 3조의 유증 계획을 밝혔으나, '망할지도 몰라..'와 같은 입소문으로 인해 하루 만에 약 55조원의 예금 인출이라는 피해를 입게 되어 파산하게 된 것입니다.
2. SVB은행 파산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검색창에 '실리콘밸리은행 파산'을 검색하면 연관 검색어로 '국민연금'이 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이 SVB 300억원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 SVB 관련 국민연금의 투자금 손실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이슈가 되었습니다. 국민연금이 가진 자산에 비해 300억원이면 적은 비율이나, 최근 국민연금에 대해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 이와 같은 뉴스는 국민연금의 여론에 더욱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고금리의 여파로 인해 SVB은행이 파산하였으므로, 이 상황에서 미국은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일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한국은행 역시 영향을 받아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SVB파산 사태가 불안감을 안겨주었기에, 예금 보호 최대 한도가 상향될 수도 있다는 안이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현재 예금 보호 한도는 5천만원으로, 예금 보호 한도가 지나치게 낮다는 말은 SVB파산 사태가 일기 전부터 나왔던 이야기 입니다. 미국은 예금 보호 한도가 3억을 상회하는 데에 비해 우리나라는 5천만원만 보호가 되는거면..정말 적은 한도가 보호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검토 중이라고 하니 이는 더 지켜봐야 알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SVB은행의 파산 이유와 SVB은행이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에 대해 기술해보았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 석유 생산량 감소로 인해 일어날 유가 상승, 이 여파로 유류세 인하? (2) | 2023.04.19 |
---|---|
[경제/금융] 키움증권 어플 통해 해외 주식 구매하는 방법 (0) | 2023.04.06 |
[경제/금융] 인덱스펀드, 그리고 ETF (개념과 장단점, 그리고 두 상품의 차이) (1) | 2023.03.21 |
[경제/금융] 2030 직장인 가입 필수! 6월에 출시될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내일채움공제 vs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0) | 2023.03.20 |
[경제/금융] 직장인이 꼭 알아야하는 세액공제, 소득공제, 비과세 뜻과 예시 정리 (연말정산 꿀팁!)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