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레버리지와 관련된 지표들에 대해 설명을 해보려고 합니다.
EVA, DOL, DFL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에게 유익한 글이 될 것 같네요!
1. EVA 정의
: Economic value added로, '경제적 부가가치'라는 의미이다.
: 조달비용을 초과하는 이익을 의미한다.
2. EVA의 유용성
: 투자자가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때 자본비용도 포함하게 함으로써 실질적인 기업 가치를 기준으로 투자할 수 있게끔 한다.
3. 투하자본(=IC) 산출 방식
: 영업자산 - 영업부채(이자발생부채 제외)
4. 투자자본수익률(=ROIC) 산출 방식
: 세후영업이익 / (총자산 - 비영업자산 - 비이자발생부채)
*여기에서 '비이자발생부채'는 '영업부채'를 의미
5. 경제적 부가가치(=EVA) 산출방식
: 세후영업이익 - 투하자본조달비용
: 투하자본 * (ROIC - WACC)
6. 시장부가가치(=MVA) 산출 방식
: 미래 EVA의 현재가치
7. 손익계산서에서 비용 구조를 분석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
: 매출 ~ 영업이익까지는 영업 영역이며,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까지는 재무 및 기타 영역으로 본다.
8. 레버리지의 의미
: 부채비율 등
: 혹은 고정비로 인해 매출액의 변동보다 손익의 변동이 커지는 현상들을 의미
9. 영업레버리지 정의
: Degree of Operating Leverage
: 매출액이 변동할 때, 영업 고정비로 인한 영업이익의 변동 정도
10. 재무레버리지 정의
: Degree of Financial Leverage
: 영업이익이 변동할 때, 이자비용과 같은 고정비로 인한 당기순이익의 변동 정도
11. 결합레버리지 정의
: Degree of Combination Leverage
: 매출액이 변동할 때, 영업고정비와 이자비용으로 인한 당기순이익의 변동 정도
12. 영업레버리지, 재무레버리지 의미
: 영업레버리지는 유형자산 의존도를, 재무레버리지는 타인자본에 대한 의존도를 의미한다.
13. 영업레버리지(DOL) 산출 방법
: (매출액 - 변동비) / (매출액 - 변동비 - 고정비)
14. 재무레버리지(DFL) 산출 방법
: (매출액 - 변동비 - 고정비) / (매출액 - 변동비 - 고정비 - 이자비용)
15. 규모의 경제에 따른 레버리지 활용법
: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할 수준에서는 외주가공(=변동비)에 의존하지만, 규모의 경제가 발생할 수준에서는 설비투자(=고정비)로 전환하는 등의 의사결정에 레버리지가 활용된다.
지금까지 레버리지 비율과 관련된 지표들에 대해 적어보았는데, 다음에는 손익분기점과 관련된 지표들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재무제표 분석(10): 손익분기점, 공헌이익, 영업이익, 안전한계 (1) | 2023.10.24 |
---|---|
[회계] 재무제표 분석(8): PER, PBR, PSR, ROE, ROI, ROA (0) | 2023.10.09 |
[회계] 재무제표분석(7): 매출채권회전율, 자기자본회전율, 비유동자산회전율, 유형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매입채무회전율 (0) | 2023.10.03 |
[회계] 재무제표 분석(6): 유동성비율, 레버리지비율 등 (0) | 2023.09.17 |
[회계] 재무제표 분석(5): ROA, 유동성, 레버리지 (0) | 202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