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회계] 재무제표 분석(8): PER, PBR, PSR, ROE, ROI, ROA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주식하는 분들이 많이 보는 지표들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증권시장에서 많이 나오는 용어인  PER, PBR, PSR 뿐만 아니라 ROI, ROE 등에 대해서도 풀어놓았으니, 이 부분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에게는 도움이 될 것 같네요 ㅎㅎ


1. PER(=Price Earning Ratio) 의미

: 개별 주당 순익으로, 주가 평가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2. PER 산출 방법 (관측 ver.)

: 실제 주가 / 주당 이익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3. PER 산출 방법 (이론 ver.)

: (1-유보율)*(1+성장률) / 자기자본비용 - 성장률

 

4. PER은 높을수록 좋나요?

 : PER 배수가 높을수록 투자자로부터 높은 기대를 받는다고 볼 수 있지만, 상대적인 지표이기 때문에 경쟁사의 PER배수와 비교해서 보아야 판단이 가능합니다.

: 하지만 통상적으로 성숙 기업들은 8~12배 정도라고 봅니다.

 

5. PER과 주식과의 관계

1) 관측 PER > 이론 PER: 기업이 과대평가 되었다는 의미로, 주식을 매도해야 한다.

2) 관측 PER < 이론 PER: 기업이 과소평가 되었다는 의미로,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

 

6. 자기자본비용 산출 공식

: 무위험수익률 + (시장수익률 - 무위험수익률) * 민감도

 

7. EBITDA 산출 방법

: 영업이익 + ~ 상각비

: ~상각비는 유/무형 다 포함된다.

 

8. 순차입금 산출 방법

: 이자부차입금 - 현금성자산

 

9. PBR 산출 방법 (관측 ver.)

: 실제주가 / 주당장부가치

: 시가총액 / 자기자본

 

10. PSR 산출 방법 (관측 ver.)

: 실제주가 / 주당매출액

: 시가총액 / 매출액

 

11. PBR을 산출하는 의미

: 기업의 수익이 아닌 순자산을 기준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사용하는 지표

 

12. PSR의 활용도

: 스타트업 혹은 매출이 발생하는 초기 단계에서 유용

 

13. ROE의 개념

: 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수익률)

 

14. ROE 산출 방법

: 당기순이익 / 자본총계

: 당기순이익률 * 총자산회전율 * (1 + 부채비율)

: ROI * (1 + 부채비율)

 

15. ROE를 산출하는 의미

: 자기자본을 투자하여 어느 정도의 수익률을 얻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

 

16. ROI의 개념

: Return on investment (= 총자본수익률)

 

17. ROI 산출 방법

: 당기순이익 / 투하자본

: 당기순이익률 * 총자산회전율

: 매출이익률 * 자산회전속도

 

17-1. 투하자본

: 자기자본에 타인자본을 더한 값

 

18. ROI를 산출하는 의미

: 투자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19. ROI와 관련있는 지표

: ROI는 이익률과 회전속도와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제품의 가격을 낮춰 판매하면 회전율은 높아지지만 이익률은 낮아지기 때문이다.

 

20. ROA의 개념

: Return on asset (= 총자산수익률)

 

21. ROA를 산출하는 의미

: 총자산을 투입하여 어느 정도의 수익률을 얻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지금까지 PER, PSR, PBR 그리고 ROE, ROI, ROA에 대해 간단하게 적어보았습니다.

PER에 대해 아주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상대적인 지표이므로 동종기업과 비교 후 더 과소평가 된 기업에 투자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며, ROE/ROI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수준의 레버리지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음에는 레버리지를 분석하는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