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nce

[회계] 재무제표 분석(4): 재무제표 작성법

주로컬 2023. 9. 3. 22:16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재무제표가 작성되기까지 어떤 과정들을 거치는지에 대해 적어보려고 합니다.

 

재무제표가 만들어지는 흐름에 대해 알고싶으신 분들에게 유익한 포스팅이 될 것 같네요!


재무제표가 작성되는 과정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a. 현금 유출입, 자본금, 대출금 등을 고려하여 자산과 자본, 부채를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 기입한다. (자산을 차변에, 부채와 자본을 대변에 기입한다.)

b.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의 납입 내역을 자산과 부채, 자본으로 나누어 기입한다.

c. 영업을 통해 자산을 취득하면 유형자산과 재고자산 등의 항목을 자산으로 유입시켜 기입한다.

d. 합계/잔액을 정리하여 시산표를 만든다.

e. 시산표를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로 분해한다.

 

이제 용어정리를 해보겠습니다.

 

1. 단식부기/복식부기

- 현대의 회계는 복식부기를 기준으로 한다.

 

2. 회계처리

- 모든 회계처리는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 모양을 기준으로 두고 설정한다.

- 좌측은 자산, 우측은 부채와 자본으로 기록한다.

 

3. 합계시산표

- 계정별 원장에서 차변과 대변의 합계액을 옮겨서 작성한 합계표를 의미한다.

 

4. 잔액시산표

- 합계시산표에서 각 계정별 원장을 합한 금액을 기재한 시산표를 의미한다.

 

5. 회계처리와 재무제표의 작성

1) 회계기간 동안의 회계처리를 수행한 후, 계정별 원장에 옮겨 쓰고, 계정별 차/대변의 합계액을 합계시산표에 옮긴다.

2) 기초재무상태표와 잔액시산표를 이용하면, 당기 손익계산서와 당기말 재무상태표를 작성할 수 있다.

 

다음에는 재무제표를 더 차근차근 분석해보는 글을 작성해보겠습니다.